항공마일리지, 취약계층 지원에 활용되는 공적 자산의 소멸
Last Updated :
공무원 항공마일리지 활용 방안
국민권익위원회는 '공적 항공마일리지의 효율적 사용을 위한 개선방안'을 마련해 제도개선을 권고했습니다. 49개 중앙행정기관과 243개 지방자치단체에서 2023년 한 해 동안 유효기간 만료로 소멸한 마일리지는 약 3500만 마일리지, 공무원이 공적 항공마일리지를 보유한 채 퇴직하면서 공적으로 사용하지 못한 마일리지는 약 3900만 마일리지 수준으로 확인되었습니다.
- 항공마일리지 운영 실태조사
- 공적 항공마일리지 보유와 미활용 분석
- 제도개선을 위한 국민권익위의 노력
- 공적 마일리지의 사회복지시설 전달 방안
- 정책브리핑 자료 출처 안내
항공마일리지 관련 실태조사
국민권익위는 실태조사에서 49개 중앙행정기관과 243개 지방자치단체에서 2023년 한 해 동안 유효기간 만료로 소멸한 마일리지는 약 3500만 마일리지로 확인했습니다. 또한 공무원이 퇴직하면서 미활용한 마일리지는 약 3900만 마일리지로 파악되었습니다.
유형 | 규모 | 활용 방안 |
유효기간 만료 마일리지 | 약 3500만 마일리지 | 항공마일리지 활용 방안 마련 |
미활용 마일리지 | 약 3900만 마일리지 | 사회복지시설 전달 방안 권고 |
국민권익위의 제도개선 노력
국민권익위는 유효기간 만료가 임박했거나 퇴직이 예정된 공무원이 보유한 마일리지를 소속기관에서 주기적으로 확인하고, 해당 공무원이 공적 항공마일리지를 활용해 항공사 마일리지몰에서 물품을 구매한 뒤, 소속기관 명의로 사회복지시설 등 취약계층에 전달하는 방안을 권고했습니다. 이를 통해 정부 예산으로 적립된 마일리지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고, 사회복지시설 등 취약계층 지원 활동에 활용하는 체계를 만들어 나가기로 했습니다.
문의
문의 : 국민권익위원회 사회제도개선과(044-200-7250)
정책브리핑의 정책뉴스자료 이용 안내
정책브리핑의 정책뉴스자료는 「공공누리 제1유형:출처표시」의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하며, 출처를 표기하지 않을 시에는 저작권법에 따라 처벌될 수 있습니다.
항공마일리지, 취약계층 지원에 활용되는 공적 자산의 소멸 | 에이스터디 : https://astudy.co.kr/post/bfe5c1eb/5852
🔥 클라우드 태그 🔥
에이스터디 © astudy.co.kr All rights reserved. powered by modoo.io