농산물 공급량 낮고 소매가격 상승 전망, 농식품부 발표
Last Updated :
농산물 가격 상승에 대한 설명
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(aT) 자료에 따르면, 15일 기준으로 전월 대비 농산물 도매가격 상승률은 청상추 223%, 오이 178%, 시금치 124%로 상승하였습니다.
상추 등 채소류는 여름철 가격이 상승하는 것이 일반적이며, 현재 소매가격은 지난해보다 낮은 수준이며, 계절적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가격을 단순비교하여 물가에 대한 소비자의 불안 심리를 자극하는 것은 농산물 소비부진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적절치 않습니다.
농산물 중 상추 가격 상황
상추의 생육 특성, 기상 상황 등으로 여름철 수확량 및 출하량 감소가 일반적이며, 계절적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장마가 오기 전 가격과 비교하는 것은 적절한 비교가 아니며, "4kg 한 상자에 10만원에 사온다"는 과장된 표현을 그대로 기사화하는 것은 불안 심리를 자극하여 적절치 않습니다.
농산물 중 오이 및 시금치 가격 상황
7월 중순 현재, 상추 100g당 1,496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9.7% 낮은 수준, 시금치 100g당 1,276원으로 14.4% 낮은 수준, 오이 10개에 9,282원으로 6.1% 낮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습니다.
농산물 공급에 대한 전망
상추는 재정식 후 20일 후면 수확이 가능하고, 오이는 흐린 날씨로 인해 생육이 지연되었지만, 공급량 부족이 오래 지속되지는 않을 전망이며, 상추의 피해를 입은 지역에서의 출하량도 증가하고 있어 지난 해보다는 공급량이 많을 것으로 전망됩니다.
| 상추 가격 변동 | 오이 가격 변동 | 시금치 가격 변동 |
| 계절적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가격 비교는 부적절 | 현재 가격은 작년 대비 낮은 수준 | 현재 가격은 작년 대비 낮은 수준 |
| 과장된 표현의 기사화는 부적절 | 오이 가격 변동 내용 | 시금치 가격 변동 내용 |
| 전년 대비 가격 변동 내용 | 오이의 재배 상황 및 공급 전망 | 시금치의 재배 상황 및 공급 전망 |
위와 같은 농산물의 가격 및 공급에 대한 변동은 계절적 특성 및 재배 상황을 고려하여 소비자들이 신중하게 이해하고 판단하여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.
농산물 공급량 낮고 소매가격 상승 전망, 농식품부 발표
| 에이스터디 : http://astudy.co.kr/post/bfe5c1eb/6077
🔥 클라우드 태그 🔥
에이스터디 © astudy.co.kr All rights reserved. powered by modoo.io